요약
수수료 받고 4대보험 비용 ‘꿀꺽’
파견 1명당 19만~38만원 챙겨
300~500명 유지땐 억대 월매출
불법파견에 바지사장도 다반사
“단속보다 원청 인원 축소가 더 무서워…사고나면 위장폐업부터”
반도체·휴대전화 공장등
‘제조업 불법파견’ 다반사
고용부 사이트에 광고도
6개월·1년마다 폐업·재개업
파견업체 이름 바꾸는 사이
파견 노동자는 ‘강제 쪼개기’
업체들 매출 늘리기 위해
정규직 전환 방해하기도
파견업체는 공식적인 관리비 외에 불법적으로 챙기는 수익도 많다. 인천지역 파견업체에서 관리직원으로 4년째 일하고 있는 김인성(가명)씨는 전체 매출액 가운데 ‘4대보험 비용’에서 빼돌리는 돈이 관리비보다 크다고 말했다. 김씨는 “사용업체(파견노동자를 데려다 쓰는 업체)에서 파견업체 쪽에 파견노동자 월급과 함께 4대보험 비용도 함께 제공하는데, 이 돈으로 실제 4대보험을 가입시키는 경우는 드물다”며 “생산직 노동자들의 4대보험 비용이 한달에 13만원 정도 되는데, 그건 거의 파견업체가 가져간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한푼이 아쉬운 파견노동자들한테 ‘4대 보험료 가운데 일부를 떼어줄 테니, 가입 않는 게 어떠냐’고 회유해 미가입을 유도하는 것이다. 그는 “이 밖에도 시급·수당 떼어먹기 등 여러가지 방식으로 파견노동자 몫의 임금을 헐어낸다”며 “지금 근무하는 파견업체는 300~500명 정도 파견노동자를 유지하고 있는데, 관리비와 4대보험비 등을 합쳐 월 매출이 2억~3억원 정도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현실이 이런데도 노동개악법 추진하면서 한다는 소리가 노동자 보고 기득권이라고 말하는 칠푼이년